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청년월세지원 완벽 가이드|놓치면 손해!

by ssmigostory 2025. 6. 22.
반응형

청년 월세 지원 완벽 가이드 관련 사진
이미지 출처 : 서울주거포털 공식 홈페이지 ( https://housing.seoul.go.kr )

 

월세 때문에 지갑이 얇아지는 청년 여러분, 혹시 청년 월세 지원 제도를 알고 계신가요? 지금 바로 신청만 해도 월 최대 20만 원, 최대 12개월간 지원받을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찾아왔습니다. 언제 끝날지 모르는 이 제도, 놓치면 후회합니다!

‘내가 해당될까?’, ‘언제까지 신청하지?’, ‘어떻게 받는 거지?’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핵심 요점만 쏙쏙 정리해드릴게요.

읽고 바로 아래 버튼 누르면 신청도 문제없습니다!

 청년 월세 지원 바로가기

📌목차

1. 청년 월세 지원 개요

서울시가 시행하는 청년 주거비 경감 정책입니다.
서울에 거주하며 월세를 납부하는 무주택 청년에게 최대 240만 원의 월세를 분할 지원합니다.

2. 지원 대상

  • 연령 : 만 19세 ~ 39세 이하 (1985.01.01~2006.12.31)
  • 지원 대상 : 서울시에 주민등록된 독립 거주 무주택 청년 1인 가구
  • 거주 조건 : 임차보증금 8천만원 이하 및 월세 60만원 이하 월세 거주하는 무주택자
  • 소득 기준 : 가구당 기준 중위소득 150% 이하 (건강보험료 부과액 기준)
    ※ 국민건강보험관리공단(https://www.nhis.or.kr/)에서 보험료 조회 가능

지원 대상 관련 사진

3. 지원 제외 대상

  • 국토교통부 ‘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’ 수혜자 (단, 신청일 이전 지원이 종료된 경우에는 신청 가능) 
  • 기존 서울시 청년월세지원금 수혜자
  • 신청자 본인 일반재산이 1억 3천만 원 초과자
  • 차량 시가표준 2,500만 원 이상 소유자
  • 국민기초생활수급자 (생계·의료·주거급여 수급자)
  • 서울시 청년수당 또는 자치구 자체 청년월세지원(예: 은평․광진 등) 수혜자
  • 공공임대주택 거주자 (모든 공공임대주택 및 공무원임대 포함)
  • 임대인이 신청자의 부모인 경우 
  • 공동임차인이 모두 신청자인 경우
  • 기타 서울시가 ‘사업 취지에 부합하지 않는다’고 판단하는 경우

4. 지원 금액 및 기간

  • 지원 금액 : 월 최대 20만 원
    ※ 20만원 미만 월세 계약은 임대차계약서에 표기된 차임금액만 지원 (보증금, 관리비 제외 / 실 월세만 지원)
  • 지급 기간 : 최대 12개월 (생애 1회)
  • 지급 방법 : 격월 25일 전후로 계좌 입금
  • 지급 일정 : 10월(7,8,9월분), 12월(10, 11, 12월분) 지급. 잔여 7개월분은 26년에 격월 지급 예정

5. 선정 기준

임차보증금, 월세 및 소득 기준 4개 구간으로 나누고 선정인원 초과 시 구간별 전산 무작위 추첨

선정 기준 관련 사진

6. 신청 일정 및 절차

6.1 신청 일정

  • 신청 기간 : 2025년 6월 11일(화) 10:00 ~ 6월 24일(월) 18:00
  • 선정 인원 : 15,000명
  • 신청 방법 : 서울주거포털(https://housing.seoul.go.kr/)‘청년 월세 지원’란에서 온라인 신청

6.2 필수 제출서류

  • 확정일자가 날인된 임대차계약서 전체 사본 1부
    확정일자는 동주민센터 및 인터넷등기소(http://www.iros.go.kr)에서 발급
  • 이체확인증 : 신청일 기준 최근 3개월(’25년3~5월)간 월세 이체 내역(임대인 계좌확인)
  • 가족관계증명서(본인 기준 상세증명서)
    ※ 대한민국 법원 전자 가족관계등록시스템(http://www.iros.go.kr)에서 발급

6.3  일정 절차

일정 절차 관련 사진

서울주거포털(https://housing.seoul.go.kr/) '마이페이지 내 청년월세지원 신청현황'에서 확인. 개별 알림

7. 신청 전 꼭 확인할 사항

7.1 유의사항

  • 허위 서류 제출 시 : 선정 취소 및 지원금 환수 조치가 있으며, 향후 지원 제한 가능성도 있습니다.
  • 자격 요건 상실 시 : 이사, 주택 소유, 타 사업 중복 수혜 발생 시 즉시 지원 중단 및 환수 대상
  • 서류 미비 시 : 기한 내 서류 미제출 또는 오류 시 자동 제외
  • 지원금 계좌 : 반드시 신청자 본인 명의 계좌로만 지급

7.2 문의처

  • 서울주택도시공사 청년월세지원센터1833-2030
  • 다산콜센터 120

8. 마무리 한마디

서울에서 독립해 자취 중인 청년이라면, 주거비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기회입니다.
자격이 된다면  꼭 기간 내에 신청하시고, 최대 240만 원까지 받아보세요. 더 늦기 전에, 나도 모르게 혜택을 놓치지 마세요!

신청은 아래 버튼 클릭 한 번이면 충분합니다

 청년 월세 지원 바로가기

반응형